적어줄 것이 많은데 차차로 써나가야 한다.
VIM 은 말그대로 VI 의 확장 판이다.
진정한 기능은 VI 의 확장기능을 발휘할때 나타난다.
VI 는 시작 할때 초기환경을 읽어와서 수행된다.
이는 리눅스, 윈도우 등 여러 OS 에서 동일하다.
그런데 이때 읽어오는 파일의 위치와 이름은 다르다.
이 정보는 VIM 실행후 명령어 모드 (': ' 를 입력해서 들어감) 에서 help startup 을 입력하면 나온다.
각가의 OS 에서 초기에 환경설정을 위한 파일들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Unix $HOME/.vimrc OS/2 $HOME/.vimrc or $VIM/.vimrc (or _vimrc) MS-DOS and Win32 $HOME/_vimrc or $VIM/_vimrc Amiga s:.vimrc or $VIM/.vimrc
위에서 $HOME 은 HOME 이라는 변수에 설정된 디렉토리 정보이다.
일반적으로 Unix/Linus 에서는 ~ 와 같이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이다.
이후는 윈도우 환경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1. 초기환경 바꾸기
현재 첨부된 파일은 $HOME/_vimrc 를 열어서
source $VIMRUNTIME\vimrc_exmple.vim 위치에
source $VIMRUNTIME\gvimrc_silver.vim 로 바꾼후
$VIMTRUNTIME 에 해당하는 디렉토리에 위치시킨다.
피씨설정
서버설정
서버에는 각종 플러그인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아래의 옵션만 설정하고 사용한다.
환경설정은 보통 홈디렉토리에 .vimrc 파일을 생성하여 하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vim 디렉토리를 만들고 .vim 디렉토리안에 vimrc 파일을 만들어서 설정하는 것을 선호한다
.
추후 여러가지 vim에 필요한 플러그인 설치등을 할 때 ./vim폴더를 사용하게 된다.
$HOME/.vimrc
$HOME/.vim/vimrc
어떤 방식의 선택해도 설정은 잘되므로 취향에 따라 설정을 저장해 주자!
set nu
set cul
" 추천 list 문자열
" set list로 활성화 됨.
set lcs=tab:\|\ ,eol:$,trail:.,precedes:<,extends:>
"=========================================================
" 상태바 설정
"=========================================================
set laststatus=2 "항상 상태바가 나오도록 설정한다.
set statusline=%<%f\|%m%r%h%y\ [%Y/%{&ff}/%{\(&fenc==\"\"?&enc:&fenc).((exists(\"+bomb\")\ &&\ &bomb)?\",B\":\"\")}]%=[%04l(%p%%\|%P),%04v\|\%03.3b,\%02.2B]
위와 같이 설정했을때 vim이 보여주는 화면
* 현재 편집중인 파일과 파일인코딩 정보를 보여준다.
잊어버리면 안되는 유용한 vim 키
* : 단어위에서 *키를 누르면 해당 단어를 검색한다(/단어치는 수고를 안해도 된다)
shift+V : 라인단위 비주얼 선택을 한다(다중라인 들여쓰기, 보고싶은 부분 강조 등에 좋다)